20~30대 청년들의 가장 큰 꿈은 바로 안정된 직장을 갖는 것입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안정된 직장이 몇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대부분의 인재가 공무원 시험에 쏠리는 게 현실입니다.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분야에 종사해야 할 인재가 공무원으로만 쏠리는 건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요즘같이 어려운 시기에 경제적인 부분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공무원이 받는 봉급은 얼마나 될까요?
대체 왜 그렇게 공무원에 목을 매는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2019 공무원 봉급표는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인사혁신처에 가서 2019년 공무원 보수규정을 찾아보거나 아니면 법령정보센터에서 검색만 해도 나옵니다.
공무원은 중앙직과 지방직으로 나뉘는데요.
본인이 준비하고자 하는 직렬과 직급을 잘 찾아보신 뒤 거기에 맞는 보수 규정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1급부터 9급까지 일반 행정직 기분으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이 표는 기본급 기준입니다.
9급 1호봉은 159만원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7급시험에 합격할 경우는 같은 1호봉이라고 해도 180만부터 시작을 하며..
만약 행정고시에 합격에서 5급부터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첫 월급은 246만원 가량이 됩니다.
물론, 이는 공무원 연금 및 4대 보험 등이 빠져 나가기 전이며, 기타 수당을 더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공무원 봉급표에서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수당인데요.
수당 역시 중앙직과 지방직, 직렬 및 직급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일반화 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대략적으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상여 수당이 잇는데요. 근무 성적및 업무 실적 등에 따라 성과 상여금이 차등 지급됩니다.
다음으로 가계보전 수당이 있습니다. 부양가족이 있으면 가족수당을, 고등학생 자녀가 있다면 자녀학비 보조수당이 지급됩니다.
위험근무나 특수업무를 수행할 경우 특수근무수당이 지급됩니다.
눈여겨 볼 대목은 바로 모든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정액급식비와 직급보조비 입니다.
직급 보조비는 당연히 직급에 따라 달라지며 직급이 높을 수록 더 많은 금액이 지급됩니다.
또 명절에는 멸절휴가비가 지급되고, 초과 근무를 수행할 경우 초과근무 수당이 지급됩니다.
4급 이상 관리자급 공무원에게는 관리업무수당이 지급됩니다.
공무원 개인이 한달에 받는 수당을 모두 더하면 최소 40~50만원 이상은 돼보입니다.
2019 공무원 봉급표에 이 수당을 더한다면 대략 내가 받게 될 월급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빠져나가는 금액도 있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공무원은 매달 공무원 연금 기여금으로 공제되는 금액이 있으며, 4대 보험 및 소득세, 지방세 등도 빠져 나갑니다.
돈을 많이 받을수록 공제되는 금액도 높아집니다.
혹시 공무원 월급과 관련해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앞서 설명드린 공무원 보수규정 등을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공무원 봉급표(직급별 보수) (1) | 2024.01.17 |
---|---|
경계성 지능장애 특징과 테스트 방법 (0) | 2024.01.16 |
경계성 인격장애 특징과 원인 (1) | 2024.01.16 |
진안 가볼만한 곳 - 운일암반일암 (0) | 2019.07.17 |
캠핑클럽 용담 섬바위 직접 가보니... (0) | 2019.07.15 |